바로 아래 글과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http://www.mobiinside.com/kr/2017/11/21/blockchain-evm/
출처는 위 기사입니다.
현재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의 한계점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에이다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KEVM이라고 새롭게 스마트 컨트랙트를 연구/설계 중입니다. ^^
(하스켈 언어를 사용해서요)
블록체인의 설계
대부분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일반적인 해결과제 또는 설계 난점은 다음과 같다.
1) 확장성 (Scalability)2) 참여자들의 경제적 인센티브 구조 (Cryptonomics that incentivizes all the interested parties to operate)
확장성은 다음과 같은 여러 요소(component)에서의 확장성을 포괄한다.
– 데이터 처리 속도(프로세싱, processing speed)– 데이터 검증 속도(검증, validation speed)– 데이터 전파 속도(네트워크, network relay speed)– 늘어나는 데이터 크기(저장공간, storage)– 합의구조에 참여하는 노드 갯수(검증인 수, the number of validators)– 활용 및 응용 프로그램의 다양성(어플리케이션, scalability on codes and applications)– 온체인/오프체인 거버넌스(on-chain/off-chain governance)
간략히 말해, 위 확장성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한 결과가 실제 트랜잭션 속도/처리량(TPS/throughput)으로 나타난다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다루는 확장성 요소들은 단순 처리량이나 처리속도를 넘어, 실제 실생활에서 얼마나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는가의 여부도 나타내게 된다.
많은 프로젝트가 확장성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접근을 시도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위 요소 중 하나 또는 두 개 수준에서만 접근하기 때문에 실제 작동이 가능한 확장성 확보에는 실패한다.
참여자들의 인센티브 구조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본다.
인센티브가 반드시 사용 수수료나 금전의 형태를 띨 필요는 없으며, 어떤 형태이건 동기부여 및 지속가능한 경제구조를 만들 수 있다면 유효한 인센티브 구조라고 간주할 수 있다. 위 세 가지 요소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진다면 해당 블록체인의 경제가 작동하게 된다.
이를 이더리움(Ethereum)에 적용해보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지불하는 인센티브: 스마트 컨트랙트나 단순한 이체 시 지불하게 되는 수수료
네트워크와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노드(검증인)들이 얻는 인센티브: 노드들은 각 블록을 채굴했을 때 얻는 블록발행보상과 이용자들이 지불한 수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