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 일희일비하지않는남자

저는 서둘러서 빨리 제품을 내놓는것 보다는 지금 IOHK의 진행 방식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금융 시스템 플랫폼이라는 목표 자체가 시스템의 견고함에서 나오는 사용자의 신뢰가 가장 중요한데 제품 출시 이후 문제가 발생한다면 매우 치명적이고 되돌리기 힘들 수 있기 때문.

18:09 일희일비하지않는남자

때문에 현 IOHK의 개발 방식, 예를들어 이원화된 개발 팀 (RUST, HASKELL)의 동시 개발 및 상호 검증, 테스트넷을 통한 버그 테스트, 점진적인 탈중앙화를 통한 사용자 적응 기간 및 시스템 검증, formal verification이나 코드 검증을 통한 시스템 검증, 수학 모델을 학계에 제출하고 피어리뷰받고 억셉 받는 등의 방식 등의 신중한 접근 방식은 매우 적절하다고 생각.

18:10 일희일비하지않는남자

투자자 입장에서는 눈에 보이는 제품이 빨리 빨리 나오는 것이 더 중요하게 보일 수 있으나,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살얼음 걷는 느낌으로 신중하게 개발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18:11 일희일비하지않는남자

그래서 저번에 어떤 일본인이 올린 트윗에 역삼각형 모델이 있는데, 거기에 카르다노가 잘 맞는다고 생각. 신중하고 오랜 기간을 둔 제품일수록 출시 후 더 좋은 반응을 오래 얻을 수 있는것..

18:11 일희일비하지않는남자

시드가 크지 않은 제 입장에서는 그냥 이렇게 세일 기간이 길게 주어지는 것이 감사할 따름..

18:11 라윰 (Ly)

18:11 일희일비하지않는남자

맞음 저거요

18:12 일희일비하지않는남자

준비가 짧은 프로젝트는 execution에서 잡음이 많아서 실제 result를 얻기까지의 기간이 길어질것.

18:12 일희일비하지않는남자

카르다노 같은 경우 준비를 제대로 지금처럼 잘 한다면 execution 기간의 잡음이 짧을 것이고 실제 사용자 입장에서의 result를 보는 것은 오히려 더 빨라질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