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HK팀은 새로운 Cardano Haskell 출시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 구현은 Cardano Node와 Cardano Explorer Backend 및 WeB API라는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됩니다. 지난 18개월동안, 우리는 다가오는 Shelley 릴리즈 준비와 그 후에 있을 Gougen을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를 구축해왔으며, 서드파티 개발자 및 엔터프라이즈 채택에 관한 관문을 열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잠정적으로 2월 20일에 예정되어 있는 Ouroboros BFT(Byzantine Fault Tolerance) = OBFT의 하드포크 업데이트로 시작됩니다. 현재 카르다노 블록체인은 기존에 머물러 있지만, OBFT로 업데이트 된 이후에는 블록을 생성하는 핵심 노드를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월렛 백엔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다이달로스 사용자들은 추후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왜 지금인가?

우리는 2017년 9월에 시작된 네트워크 노드를 이용해 지금까지 최대로 이끌어 왔습니다. 우리는 로드맵을 달성하고 Shelley(셸리)를 위한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고 Gougen(고겐) 및 기타 향후 릴리즈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관련된 아키텍처가 필요하다는 것을 오랫동안 알고 있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카르다노의 설계(Design)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일환입니다. 이전 노드는 Cardano Explorer(탐색기), 월렛 백엔드를 구성요소에 내장한 단일체로 구성되었지만 새 버전은 모듈(Module)식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향후 통합에 대한 변경이 쉬워지고 다른 시스템의 노드를 보다 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아키텍처에서는 노드, 지갑, 탐색기가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존재하게 됩니다.

무엇이 관련되어 있는가?

이 새로운 구현의 중요한 성과는 컨센서스 레이어(Consensus Layer, 합의 레이어)와 렛저 룰(Ledger Rules, 원장 규칙)의 분리(Separation)입니다. 이 디커플링(Decoupling, 탈동조화(엇갈림))은 합의(Consensus)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규칙(Rules)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Shelley에서 Gougen으로 전환할 때 렛저 룰만 변경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구현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하고 새로운 기능을 더 자주 추가할 수 있게 됩니다. 일부 이점은 즉각적으로 반영되지만 다른 이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현될 것입니다.

직접적인 이점은 IOHK 엔지니어가 다른 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보다 쉽게 혁신하고 특정 구성요소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구현은 Ouroboros BFT의 업데이트와 함께 TPS(Transactions per second) 성능이 크게 향상됩니다.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카르다노 네트워크가 더 많은 개발 지원과 시스템 적음성 및 이식성을 통해 이익을 얻게 되므로, 이 업데이트의 이점은 지속적으로 누적됩니다.

이 새로운 구현은 많은 노력에 의한 결과입니다. 이제 우리는 이 형식적인 방법에 대한 헌신을 확장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안정적인 네트워크도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새로운 코드베이스(new codebase)는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테스트를 거쳤으며, 우리는 기존 코드베이스의 단점을 물려받지 않고도 몇 가지 근본적인 개선을 할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카르다노 노드에는 지갑(including wallets), 탐색기(exploreres), CLI도구(CLI tools) 및 사용자 정의 통합 API(custom integration APIs)를 포함하여 여러 클라이언트 구성 요소에도 사용이 가능한 IRC Interface도 포함됩니다. 이는 우리가 더 나은 성능의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고 다른 것들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이 됩니다.

카르다노 익스플로러 백엔드 및 웹 API (Cardano Explorer Backend and Web API)

이하는 본문을 참고.

https://iohk.io/en/blog/posts/2020/02/12/new-cardano-node-explorer-backend-and-web-api-released/